추진방향

광복 80년 기념사업은 과거의 성취를 발판삼아
세대를 아우르고 국민을 통합하는 “빛의 축제”로 추진합니다.
핵심 가치
빛나는 발걸음
  1. 1독립 역사

    독립전쟁 등 독립 역사능동성 부각, 여성·노동자·학생 등 다양한 독립 활동 주체를 조명하고 특별한 헌신에 걸맞은 예우

  2. 2독립 정신

    3.1운동과 임시정부로부터 이어진 독립 정신오늘날의 발전과 민주화의 뿌리임을 인식하고, 이를 통해 국민 자긍심 고취

새로운 길
  1. 3국민 통합

    여러 위기 속에서도 민주공화국의 정체성을 지켜온 대한민국의 역량을 바탕으로 ‘온 국민이 하나’되는 계기 마련

  2. 4미래 선도

    AI 시대를 선도하는 미래 준비 · 통일 국가의 비전 제시 및 평화로운 한반도 모색 · 광복의 가치를 미래세대·세계와 공유

주요주제
  1. 주제 1 빛나는 독립운동, 희생과 헌신의 역사

    광복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업적과 정신을 기억·재조명

    • 1.국외 안장 독립유공자 유해 봉환 (보훈부, 8월)

     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 6위를 최고의 예우를 다해 국내 유해봉환

      현지 추모식, 유해봉환식·안장식 등을 통해 국민과 함께 추모·기념

    • 2.‘독립의 전당’ 건립 (보훈부, ’22~’26)

      서대문독립공원 내 독립유공자 위패를 모시고 있는 기존의 ’독립관‘ 이 노후·협소하여 현대적인 위패봉안실미래세대 체험공간 확대 건립

    • 3.항일문화유산 특별전 (국가유산청, ’25년)

      국내‧외에 산재항일독립유산한 자리에 모은 특별전과 세미나‧강연을 함께 개최하여 독립운동과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로 활용

      진관사 태극기 진본, 항일의병 격문(‘24.7. 환수), 한일관계사료집(임시정부 외교전략 기록)

  2. 주제 2 자랑스러운 80년, 대한민국의 여정

    자주·독립 정신을 계승하여 이뤄낸 성취에 대한 자긍심 고취

    • 1.광복 80년 국가기록 특별전 (행안부, 8.23~31)

      "빛으로 이어진 80년의 기록"을 주제로, 지난 80년 역사를 빛의 축제로 구현(광화문 광장, 7개 주제로 구성)

    • 2.통계로 본 광복 80년, 한국의 사회동향 2025 (통계청,∼’25말)

      광복 이후 변화상과 성과를 객관적 통계(인구·경제·노동등13개분야)로 점검

  3. 주제 3 모두가 하나되는 빛의 축제

    세대·지역·이념을 넘어 국민들이 참여하고 즐기는 축제의 장 마련

    • 1.광복절 경축행사 (행안부·보훈부·문체부 등, 8.14~15)

      광복의 의미와 정신을 되새기는 경축식·대축제*, 지난 80년 역사를 조명하고 미래 80년을 그리는 전야제, 미디어파사드·드론쇼 등 문화행사 추진

      주권자인 국민이 대통령을 직접 임명하는 행사 마련

    • 2.K-메모리얼 로드 (보훈부·광복회, ’25년~계속)

     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국민들과 함께 독립운동 현장*을 행진하는 광복대행진을 시작으로, 국내외 사적지 체험·탐방** 연계

      탑골공원, 서대문역사공원, 숭례문 정미의병 발원지에서 출발하여 광화문으로 행진

      국내 보훈명소 및 중국 사적지 탐방(보훈부)

  4. 주제 4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글로벌 선도국가

    AI, 한반도 평화, 새로운 문명국가 도약을 통한 국위 선양

    • 1.해외 독립운동 기념공간 조성·활용(보훈부·외교부, ~’26년)

      의미있는 해외 독립운동 사적지* 개관 등 계기 해외 독립운동 역사와 대한민국의 자주·민주 정신을 세계와 공유

      몽골 이태준 기념관 신축 개관(9월), LA흥사단 옛 본부건물 리모델링(~’26년), 충칭 임시정부 기념관 재개관 30주년 행사(8월~9월)

    • 2.광복 80년 성과 및 광복 100년 대비 미래전략 연구(경사연등,∼’25말)

      전문가 대담 및 시민참여(시민1,000여명대상인터뷰·설문등) 등을 통해 미래 비전 및 정책과제 발굴

    • 3.통일·광복 관련 참여형 행사 (통일부,’25.下)

      광복 80년 계기 전문가 세미나(국제한반도포럼), 국민 참여 행사(청소년통일문화경연대회) 등을 통해 통일·광복에 대한 관심 환기